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 2025/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삼성테크윈 snp-3300 무선에서..

버그리포트 | 2009. 4. 16. 01:02 | Posted by 99%

도로공사에서 사용할때 문제이다.

fps낮추고 펌웨어 업데이트하고 문제해결


문제

무선메쉬망에서

snp-3300..

안에 서버가 죽어버린다!

 

1. 보드를 갈아보고

 

2. 그런현상이 발생하는 현장이 있으므로

fps를 낮춰달라해서 낮춰도 보고..

 

3. 자동접속하는 부분을 못믿겠어서

ping체크해서 sdk를 제어했던부분도 제거해보고..

 

자신들은 5m이하망은 지원을 원래 안한단다 ㅡ.ㅡ

그렇다고 데몬이 그냥 죽어?

:

도로공사에서 간단하게 처리하느라 영상전송을 jpg로 했더니 이런 문제가..


문제

네트웍으로 이미지 전송시

고속으로 처리해야하는 상황에서 CxImage사용했을때.

 

내부 동기화 처리가 안되서 그런지..

자꾸 쓰잘떼기 없는 에러 뜬다!

 

IJL로 사용시 전혀 이상없음.

 

CxImage가 편하긴 한데..

메모리도 많이 잡아먹고.

속도도 느리다..조금? ㅋ

:
V3못쓰겠다 ㅡ.ㅡ;
나랑 안맞나보다; V3 2007만 깔면 초기에 부팅할때 15분이 넘어가네.. ㅡ.ㅡ;;
이유는 못찾았고 V3때문인건 맞더라.. 이문제랑은 다른 얘기지만 ㅋ

해결방법
http://csagent.ahnlab.com/csagent/jsp/FAQ/customer/customer_faq_b2c.jsp?FAQ_ID=10662&IS_NOMAL=1

네트워크 침입차단 MS06-040 Server Service Exploit가 차단되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계속 뜹니다. 
AhnLab V3 Internet Security 2007/Platinum 의 [해킹차단] 기능중 "네트워크 침입 탐지"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에 의해 윈도우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하는 WargBot 및 IRCBot웜의
네트워크 침입을 탐지하여 차단된 것입니다.

[Win32/WargBot.worm.9609 정보 페이지로 바로가기]

해당 공격 자체를 없도록 사용자가 조치하시기는 어렵습니다. 광범위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은 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일일이 공격자를 찾아 사용자가 조치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하오니
[네트워크 침입차단]에 의해 차단된 것에 안심하시고 이용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해당 서버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MS06-040)에
대한 보안 패치 적용 여부와 상관없이 해당 공격은 [네트워크 침입차단]에서
차단이 가능합니다만, WargBot 및 IRCBot 웜 등의 비정상적인 공격에 대해
탐지하여 차단하는 것으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정상적인 접근으로
가장하여 공격 시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아래 해당 취약점 패치를 반드시
적용하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참고로, 다음과 같이 패치 적용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시작]-[설정]-[제어판]-[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선택합니다.
2. 설치된 목록에 "MS Hotfix KB921883"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3.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MS06-040 보안 취약점에 대한 보안패치를 적용합니다.

만약, 해당 패치파일이 적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아래의 방법으로 윈도우
중요 업데이트를 모두 확인하여 적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패치 설치 방법]

1) 아래의 URL을 통해 사용하시는 윈도우에 맞는 보안패치 (MS06-040)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필수]

-MS06-040 취약점 관련 페이지로 바로가기

2)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3) [인터넷 익스플로러 실행]-[도구]-[Windows Update]-[업데이트 검색]-
[업데이트 검토 및 설치]-[지금 설치]를 통해 MS사의 모든 권장 보안패치를
설치합니다.[필수]

위와같이 패치파일을 받으신 상태이시더라도 해당 알림창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신다면, AhnLab V3 Internet Security 2007/Platinum을 실행하여 상단의
[환경설정]-[알림 설정]의 "일림설정"의 "사용자지정"을 선택해 [해킹차단]부분에서
 "네트워크 침입을 탐지했을 때 알림"을 해제하시길 권하여 드립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시면, 네트워크 침입은 차단되더라도 해당 알림창이
 띄워지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위와같이 설정한 경우 해킹툴에 의한
실제적인 네트워크 침입부분도 모르실 수 있으니 프로그램의
[해킹차단]-[로그보기]에서 네트워크 침입정보를 일정간격으로
확인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