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 2025/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문 : http://shyjoo.tistory.com/20

안녕하세요
. 샤이쭈입니다.

저희 윈모데브 1 스터디의 결과물인 Presenter 마켓에 공개됩니다.

늦었지만 지난 세미나에서 약속 드렸던 연재 강좌를 시작하겠습니다!! ^^

이번 강좌는 UX기획편이구요. SketchFlow 사용한 예제입니다. 짧은 따라하기 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SketchFlow관련해서는 윈도우폰7 기획용 템플릿을 한번 만들어 볼까 합니다. 아직 모르는 것도 많고 쉽진 않을 같네요;;


그럼~ UX기획편 시작하겠습니다!!



1. SketchFlow
Windows Phone 7 UX 기획


Windows Phone UX 툴로 사용되는 Expression Blend에는 SketchFlow라는 UX기획툴이 포함되어있습니다.

현재 Phone프로젝트로는 나와 있지 않아서 아쉽게도 무료로 제공되는 Phone용 Blend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기존 Blend사용자들은 이런 멋진 툴을 Phone 기획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획용이므로 윈도우폰 뿐만 아니라 다른 OS용이라 해도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적극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Phone용 프로젝트로 SketchFlow도 나와주었으면 하는 필자의 바램으로 이 글을 적어봅니다.



2. Presenter SketchFlow 사례


Presenter 초기에 UX기획은 SketchFlow로 하였으며 이곳에선 보여 수 없어 링크를 따로 두었으니 확인해보길 바랍니다.


Presenter 초기 UX 기획(SketchFlow) 보기(로딩페이지에서 안넘어가면 클릭한번 해주세요 ^^;;)


아래 이미지는 SketchFlow에서 기획했던 내용(왼쪽)과 실제 프로젝트에서 Windows Phone용으로 구현한(오른쪽) 사례입니다.

Presenter 앱의 중요 페이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왼쪽 화면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기획단계에서 페이지에 대한 노트를 포스트잇처럼 보여줄 수 있어서 웹에 올려 프로젝트 인원들의 의견을 함께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접속 페이지




메인 페이지






Presenter 기획시 만들었던 사례를 보여드렸으며 직접 보시면 아시겠지만 여러가지 템플릿과 데이터 바인딩 등이 들어가서 여기서 설명 드리기는 복잡합니다. 아래에서는 일반적으로 윈도우폰7 앱을 기획하기 위한 간단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3. Windows Phone UX기획

MerryCode Blog에 올라온 Windows Phone 7 UX Sketch Templates를 이용하면 프린트를 해서 Windows Phone 배경위에 직접 손으로 화면을 그려서 구성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SketchFlow로 직접하거나 손으로 팀원들과 그린 내용을 SketchFlow로 정리하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Blend에서는 웹에서 직접 또는 캡쳐 프로그램으로 캡쳐해서 붙여 넣거나 이미지 파일에서 불러오기

또는 파워포인트 등에서 불러오기가 가능 하므로 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준비해야 됩니다.

이미지가 준비 되었으면 SketchFlow 프로젝트를 만들겠습니다.

Blend 실행시켜서 New Project -> Sliverlight -> Silverlight SketchFlow Application 선택하고

적절하게 프로젝트 Name 입력합니다.


생성된 프로젝트에는 흰색의 xaml 페이지가 보이며


이곳에 아까 준비한 이미지를 캡쳐해서 붙여넣기나 파일 메뉴를 통해 Import해옵니다.



폰이미지 위에 표시할 내용을 Textblock으로 추가하겠습니다.

왼쪽 Tools 윈도우에서 BasicTextBlock-Sketch 선택하고 내용을 입력합니다. 폰트도 적당히 키워줍니다.

Tools 윈도우 -> Button-Sketch 선택해서 버튼도 추가해보겠습니다.


여기에 기획의도를 보여주기 위한 노트를 추가하겠습니다.

Asset 윈도우나 Tools 윈도우의 >>(Asset) 선택해서 Styles -> Sketch Styles -> Note-Sketch 노트를 추가합니다.

다음 부분은 2편으로 넘기겠습니다. SketchFlow소스는 2편에서 공개하겠습니다.

그럼 프리젠터 따라잡기~! 기대해주세요~ ^^;;

:

안녕하세요. 99퍼센트입니다.

6월 10일 데브멘토 세미나인 실전 윈도우폰 망고 앱 디자인 & 개발에서
국내 최초로 Windows Phone의 Push Notification관련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http://www.devmento.co.kr/devmain/seminar/edumento_detail.jsp?dataSeq=101




제가 발표했던 Windows Phone Mango에서 Push Notification 활용의 내용은
기존 Windows Phone 7에서 Push Notification의 소개와 활용 방법, 타 플랫폼과의 간단 비교
그리고 Mango에서 추가된 기능의 소개였습니다.






Demo Download

데모에서
1. SendNotification과 2. UsingPushNotifications은 기존 Windows Phone의 일반적인 사용법을 보여드린 예제입니다. - 발표자료 12장
3.TileSample은 Mango에서 추가된 Local Tile 타일 예제입니다. - 발표자료 16장

1. SendNotification
MSDN Sample에 있는 Raw Notification,Tile Notification,Toast Notification 예제에서
각각 존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실제 Notification을 보내는 소스)를 통합해서 테스트하기 편하게 바꿔놓았습니다.
예제가 간단하므로 이예제로 소스를 설명드렸습니다. URI는 수동으로 입력됩니다.

2. UsingPushNotifications
7.0 Training Kit에 있는 Push Notification 소스입니다. MSDN 예제보다 좀 복잡해서 
MSDN 예제를 먼저 보시고 구조를 이해하신 후에 한글로 번역된 문서와 함께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이예제가 7.5 Mango용으로 나와있어서 마지막에 Mango에서 추가된 내용으로 보여드리려고 했으나
현재 7.5용 Training Cource에서는 이예제가 에러가 납니다. 관련 포스팅은 추후에 하겠습니다. 

3. TileSample
MSDN Sample에 있는 예제 그대로 입니다.
Mango에서 추가된 Local Tile 관련 예제입니다.

그리고 그날 질문 받았던 내용들이 거의 Raw Notification에 관한 내용이었으며
App과 Cloud Service와의 연결방법, Cloud Service와 MPNS와의 인증서 관련
질문도 있었습니다. 관련 내용도 추후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
The current display adapter does not meet the emulator requirements to run XNA Framework applications

Windows Phone개발툴에서 에뮬레이터 실행시
위와같은 에러가 뜨면서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다.

결론부터 말하면 그래픽카드가 구형이라 DirectX 11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다..
http://blog.naver.com/fly33499?Redirect=Log&logNo=120105062201

-> 보드가 구형이라 PCI Express x16을 지원하는 그래픽카드 찾기 힘들었음
GT 220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 5만원 짜리로 해결!

칩셋이 지원되도 디스플레이 어댑터(드라이버)가 구형이면 같은 메세지가 뜬다.
드라이버 업데이트 먼저!

//////////////////////////////////////////////////////////////////////////////////////////

DirectX Caps Viewer Tool을 통해서 DirectX 11지원 확인
해당 툴은 DirectX SDK를 설치하면 같이 설치된다.

최신 DirectX SDK 다운로드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displaylang=en&FamilyID=3021d52b-514e-41d3-ad02-438a3ba730ba

루트에 DXCapsViewer.exe파일로 존재
D3D10_FEATURE_LEVEL_10_0 이나 D3D10_FEATURE_LEVEL_10_1 항목이 있으면 지원

 
: